무주 김천 경게지점에 있는 백두대간길의 대덕산에 올랐다.
대구 집에서 자가용으로 1시간 30분 정도 거리의 가까운 거리라 개인산행으로 올랐다.
대략 20년 가까이 매달 한두번 씩 전국 수백 산을 올라 다녔더니 요즈음 무릎관절이 나빠져서
산악회를 이용한 산행이나 장거리 산행은 무리다 싶어서
주로 10km 이내 짧은 코스나 난이도가 쉬운 코스로만
개인산행을 주로 한다.
대덕산....
백두대간길에 위치한 산으로 남쪽으로는 덕유산(삼봉산) 북쪽으로는 민주지산 사이에 두고 있는 산으로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북도의 경계지점을 통과하는 산이며,
암릉지대가 거의 없는 평범한 육산이고
산행 기점인 덕산재가 해발 644m 지점이라 비교적 오르기는 수월한 산이라 할 수 있으며,
대덕산 자체 산새는 지극히 평범하지만 주변 조망이 아주 뛰어난 산인데
이날은 시계가 매우 불량하여 조망 산행은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무주 김천 경계선 상의 백두대간 길 대덕산 소개(퍼 온 자료)
정의
대덕산(大德山)은 경상북도와 전라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소백산맥의 백두대간 마루금에 위치한 산이다. 김천시 대덕면 덕산리 덕산마을에서 서남서 쪽으로 약 2.3㎞, 무주군 무풍면 증산리 시동마을에서 남동쪽으로 약 3.3㎞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정상부 높이 1,290m의 봉우리이다. 대덕산에서 남남동 쪽으로 1.6㎞ 지점에는 초점산이 위치하는데, 이 산은 삼도봉이라고도 불리며, 경상북도 김천시, 전라북도 무주군, 경상남도 거창군의 경계가 된다. 대덕산과 남쪽의 초점산 일대를 중심으로 소백산맥과 가야산맥이 갈라지며, 대덕산 주위에는 국사봉, 덕유산, 월매산 등이 있다
내용
높이는 1,290m이다. 대덕산은 소백산맥의 고봉으로 대부분 안산암(安山岩)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정부에는 부분적으로 조면암질(粗面岩質) 암석이 나타난다. 화산암과 주변에 분포하는 화강암의 차별 침식에 의하여 형성되었다.
소백산맥과 가야산맥의 분기점에 해당하며, 산의 남동쪽에는 수도산(修道山, 1,317m)·두리봉(頭利峰1,133m)·가야산(伽倻山, 1,432m) 등 1,000m 이상의 가야산맥 주봉들이 솟아있다.
남서쪽에는 삼봉산(三峰山, 1,254m)·덕유산(德裕山, 1,611m), 북쪽에는 민주지산(珉周之山, 1,242m) 등이 솟아 있다. 대덕산에서 덕유산에 이르는 구간은 소백산맥 중에서 가장 험한 산세를 이루고 있다.
낙동강과 금강의 분수계를 이루어 동쪽 사면에서는 낙동강의 지류인 감천(甘川)이, 서쪽 사면에서는 금강의 지류인 무풍천(茂豊川)이 발원한다. 산의 남동쪽에는 가야산 국립공원이, 남서쪽에는 덕유산 국립공원이 있어 연중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산행 구간은 위 지도(퍼 온 자료)에 표시된 위치와 거의 동일하다.
단 산행 도중 이곳 저곳 둘러본 곳이 몇 곳 있어서 대략 10km 정도 걸은것 같다.
'영남권 등산 기록 > 경상북도(대구,울산) 산행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천 운주산(운주산 등산지도) (0) | 2020.10.01 |
---|---|
독용산과 독용산성(독용산 등산지도) (0) | 2020.09.22 |
경주 단석산 (0) | 2020.04.05 |
주왕산 장군봉 코스 (0) | 2019.10.30 |
팔공산 겨울조망 산행 (0) | 2018.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