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등산 기록/경상북도(대구,울산) 산행기록

무주, 김천 대덕산

섬돌7 2020. 6. 13. 15:51

무주 김천 경게지점에 있는 백두대간길의 대덕산에 올랐다.

대구 집에서 자가용으로 1시간 30분 정도 거리의 가까운 거리라 개인산행으로 올랐다.

대략 20년 가까이 매달 한두번 씩 전국 수백 산을 올라 다녔더니 요즈음 무릎관절이 나빠져서

산악회를 이용한 산행이나 장거리 산행은 무리다 싶어서

주로 10km 이내 짧은 코스나 난이도가 쉬운 코스로만

개인산행을 주로 한다.

 

대덕산....

백두대간길에 위치한 산으로 남쪽으로는 덕유산(삼봉산) 북쪽으로는 민주지산 사이에  두고 있는 산으로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북도의 경계지점을 통과하는 산이며, 

암릉지대가 거의 없는 평범한 육산이고

산행 기점인 덕산재가 해발 644m 지점이라 비교적 오르기는 수월한 산이라 할 수 있으며,

대덕산 자체 산새는 지극히 평범하지만 주변 조망이 아주 뛰어난 산인데

이날은 시계가 매우 불량하여 조망 산행은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무주 김천 경계선 상의 백두대간 길 대덕산 소개(퍼 온 자료)

 

정의

대덕산(大德山)은 경상북도와 전라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소백산맥의 백두대간 마루금에 위치한 산이다. 김천시 대덕면 덕산리 덕산마을에서 서남서 쪽으로 약 2.3㎞, 무주군 무풍면 증산리 시동마을에서 남동쪽으로 약 3.3㎞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정상부 높이 1,290m의 봉우리이다. 대덕산에서 남남동 쪽으로 1.6㎞ 지점에는 초점산이 위치하는데, 이 산은 삼도봉이라고도 불리며, 경상북도 김천시, 전라북도 무주군, 경상남도 거창군의 경계가 된다. 대덕산과 남쪽의 초점산 일대를 중심으로 소백산맥과 가야산맥이 갈라지며, 대덕산 주위에는 국사봉, 덕유산, 월매산 등이 있다

내용
높이는 1,290m이다. 대덕산은 소백산맥의 고봉으로 대부분 안산암(安山岩)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정부에는 부분적으로 조면암질(粗面岩質) 암석이 나타난다. 화산암과 주변에 분포하는 화강암의 차별 침식에 의하여 형성되었다.

소백산맥과 가야산맥의 분기점에 해당하며, 산의 남동쪽에는 수도산(修道山, 1,317m)·두리봉(頭利峰1,133m)·가야산(伽倻山, 1,432m) 등 1,000m 이상의 가야산맥 주봉들이 솟아있다.

남서쪽에는 삼봉산(三峰山, 1,254m)·덕유산(德裕山, 1,611m), 북쪽에는 민주지산(珉周之山, 1,242m) 등이 솟아 있다. 대덕산에서 덕유산에 이르는 구간은 소백산맥 중에서 가장 험한 산세를 이루고 있다.

낙동강과 금강의 분수계를 이루어 동쪽 사면에서는 낙동강의 지류인 감천(甘川)이, 서쪽 사면에서는 금강의 지류인 무풍천(茂豊川)이 발원한다. 산의 남동쪽에는 가야산 국립공원이, 남서쪽에는 덕유산 국립공원이 있어 연중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산행 구간은 위 지도(퍼 온 자료)에 표시된 위치와 거의 동일하다.

단 산행 도중 이곳 저곳 둘러본 곳이 몇 곳 있어서 대략 10km 정도 걸은것 같다.

김천 덕산 2리 마을 입구에서 바라다 본 대덕산
덕산재 ..백두대간 표지판이 보인다 이곳 고도가 해발 644m이기 때문에 대덕산 정상까지는 약 650m의 고도차이다.

 

이정표가 매우 낡아있다..산행 도중 이정표에 나오는 거리 표시 중 엉터리가 좀 있다.

 

조금 오르니 얼음폭포가 있다.

 

폭포의 규모??~엄청나다 ㅋㅋㅋ 물은 매우 차갑다.

 

바위떡풀로 주정되는데 비슷한 구실바위취도 있어서(틀릴 수도 있다는)...
조금 더 오르니 해발 1000m 정도 지점에 약수터가 있는데 물은 고여있는데 파이프를 꼿아 놓은 곳에서는 물이 나오지는 않는다. 약수터 표지판도 희미하다.

 

나무 꽃은 이름을 잘 몰라서...

 

풀솜대

 

벌깨덩굴

 

미나리냉이

 

병꽃

 

졸방제비꽃...1000m이상 고지대라 보니 초여름인데도 간간히 피어있다.

 

지천으로 널린 쥐오줌풀꽃

 

미나리아재비

 

풀솜대
드디어 정상
건너편으로 백두대간으로 연결되는 초점산(삼도봉)이 보인다. 거리로는 대략 1.2km 지점이다.

 

 

구슬붕이...이 꽃이 봄꽃인데도 정상부가 1300m 가까운 고지라 초여름인데도 지천으로 피어있다.

 

삼봉산을 줌으로...삼봉산 뒤로 희미하게 덕유산 줄기가 보인다.

 

초점산을 배경으로

 

좌측 봉우리가 초점산이고 좌측 뒤로 수도산이 희미하게 보이고 우측 뒤로는 삼봉산 그 뒤로 희미하게 덕유산이~

 

병꽃

 

마디풀과 수영으로 추정되는데?

 

맹독성이 있는 천남성..장희빈의 사약 원료로도 사용했다는..사진 핀트가 나갔다.

 

나무꽃인데..이름을 못찾겠다.

 

쥐오줌풀꽃에 하얀나비가.

 

은방울꽃

 

당귀...나물로 먹을 수 있는데 비슷한 맹독성의 개당귀(지리강활)도 있으며 구별이 어렵다. 개당귀를 잘 못 먹고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고...

 

단풍취가 진짜 진짜 지천이다...지금은 많이 웃자라서 먹을 수 있을지는?
애기나리.

 

초점봉으로 향하는 길목에 삼봉산이 보인다. 삼봉산 죄측으로는 호음산 쪽 우측으로는 덕유산 줄기이다.

 

초점산에서 바라다 본 내감리쪽 마을 풍경 건너편으로 멀리 수도산 줄기인듯 하다. 시계가 좋으면 수도산 뒤로 가야산도 살짝 선을 보인다고 하는데..

 

파노라마 덕산리 마을 뒤로 멀리 수도산이 보이고 죄측으로 삼봉산

 

삼봉산을 줌으로

 

삼도봉이라 불리우는 것은 경상북도,경상남도,전라북도 경계지점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덕산2리 마을로 하산...뒤로 보이는 삼봉산쪽으로는 백두대간 길이다.

 

눈개승마

 

민백미꽃
모자바위
민백미꽃

 

수리봉...봉우리라 보다는 큰 바위덩어리 하나 덩그라니 언져저 있다.
저 바위가 수리봉이란다.
동쪽으로 덕산 2리 마을이 보인다..

 

벌꿀통이??? 딸랑 하나 있다.

 

엉겅퀴와 비슷한 산비장이로 추정되는데...틀릴 수도..

 

하산 완료..마을 임도가 보인다.

 

꿀풀

 

마을 등반로 초입의 등산안내표시판
한가로운 덕산 2리 마을..

 

사방댐인데..여기서 잠시 젖은 땀을 ...그리고 마을에 트럭 가진 농부님에게 기름값 줄테니 고갯길 도로로 3km 떨어진 덕산재까지....원점회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