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지정 100대 명산 중 92번째로 삼척 덕항산에 올랐다.
삼척은 젊은 시절 입사하여 정년퇴직을 한 과거 제 직장
동양시멘트의 본사 및 모 공장이 있는 곳이라 예전부터 출장을 자주 다녔고,
한 때는 몇달 삼척에서 근무한 적도 있지만, 덕항산은 처음 올라보았다.
덕항산은 서쪽 사면은 태백시 땅으로 평범한 육산이지만 동쪽사면은 깍아지른 절벽으로 이루어진 험한 암릉산이다.
그러므로 능선길은 아주 평온하게 트랙킹 코스로 산행을 할 수 있지만,
환성굴이 위치한 골말쪽에서 덕항산으로 오를 때나
환선봉을 지나 원점회귀 내려온다면 아주 험하고 가파른 산길을 오르내려야 한다.
산행 코스는 하사미동 점촌마을~예수원~구부시령~덕항산~지각산 환성봉~장암재~제2전망대~제1전망대
~천연동굴전망대~환성굴 입구~골말~주차장
(퍼 온 글)
덕항산 [德項山]
높이 : 1073m
위치 :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특징, 볼거리
덕항산은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 위치하고 있으며, 약12Km 길이의 무릉천이 이 산에서 동으로 계곡을 따라 흘러 오십천에 합친다. 덕항산은 산보다도 "환선굴"로 더 유명하며 수많은 사람들이 환선굴을 찾는다. 그러나 덕항산은 산세 또한 수려하다. 동남으로 펼쳐지는 병풍암, 거대한 암벽, 칼로 벤 듯한 암면, 하늘을 받치고 있는 듯한 우뚝 솟은 촛대봉 등 산세도 수려하고 특이한 절경을 이루고 있다.
덕항산은 능선으로 지극산과 나란히 하고 있다. 주차장에서 올려다 보면 왼쪽이 덕항산, 오른쪽이 지극산이며, 이 가운데 해발 840m에 환선굴이 있다.
환선굴은 5억3천만년 전부터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종유석의 아룸다움 보다도 규모가 크고 웅대하다. 환선굴은 총연장 6.5km, 높이 30m, 폭 100m로 동양최대를 자랑한다.
동굴 안에는 크고 작은 동굴 호수 10여개와 폭포 6개가 있어 우렁찬 폭포소리와 함께 동굴을 관람한다. 둘레가 40m인 중앙광장의 옥좌대와 동굴 어귀의 만리장성, 그리고 지옥굴 안의 버섯형 종유폭포는 환선굴만의 독특한 구경거리다
거대한 벽면을 뒤덮은 종유석들이 얼어붙은 폭포처럼 쏟아져 내리는가 싶으면 넓은 광장이 펼쳐져 있고, 산호, 영지버섯, 만리장성에 달걀 프라이 모양까지 천태만상이다
환선굴은 '97년 10월에 일반인들에게 개방되었다. 총연장 6.5km 주굴 3.2km로 6개의 동굴군중 가장 규모가 큰 굴로 내부에는
기암괴석이 항아리, 호랑이, 소, 사람 등 다양한 형태의 석수와 종유석이 형성돼 있어 석회동굴의 아름다움을 고루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동굴내 지형지물과 동.식물 집단 서식지의 보호를 위해 전체 6.5km 구간중 1.6km만 일반인에게 공개되어 있다.
환선굴은 '97년 10월 개방 이후 98년 말까지 14개월 동안 환선굴을 찾은 관광객 1백40만명,
입장수익 50억원을 올릴만큼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주차장에서 덕항산 오르는 길 옆에 물방아와 굴피집이 한채 있다.
굴피집은 지붕에 나무판자 대신 굴피(참나무 껍질)를 덮은 집이다
산 입구 도로 왼쪽에 있는 물방아는 "통방아", "벼락방아" 라고도 부른다.물통에 물이 담기면
그 무게로 공이(찧는 틀)가 올라가고 그 물이 쏟아지면 공이가 떨어져 방아를 찧게 된다.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전형적인 경동지괴(傾動地塊) 지형으로 기암절벽과 초원이 어우러져 있으며
갈매굴, 제암풍혈, 양터목세굴, 덕발세굴, 큰재세굴 등 석회동굴이 많이 소재하고,
대이동굴 군립공원(1996년 지정) 구역내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약 4-5억년 전에 이루어진 길이 6.9㎞, 천장높이 30m에 이르는 동양최대의 동굴인 환선굴(幻仙窟 : 천연기념물 제178호)이 유명하다
모든 지도 및 사진 클릭하면
고화질의 더 큰 이미지가 열립니다.
덕항산 등반 초입인 태백시 하사미동 점촌마을 하사미교이다.
대부분 산악회에서는 입장료를 받는 골말쪽에서 산행을 진행하지 않고 이곳을 들머리로 잡는다.
출발지점의 고도가 거의 700m라 고도차이로 조금만 올라서면 정상에 이른다.
마을 들머리에서 바라다 본 풍경으로 지대가 높아서, 고냉지 채소단지가 광할하게 펼쳐있는 모습이 보인다.
고냉지 채소밭 단지
예수원
퍼온글
공동체적 교회 갱신의 진원 ‘예수원’
태백에 있는 예수원은 성공회 대천덕 신부님이 1965년에 설립한 신앙공동체이다.
대천덕 신부는 고향 중국 산동성 제남 근처 예수 가정(Jesus Family)이라는 공동체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평양에서 고등학교 시절 주한 외국인 선교사들의 교제하는 삶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가장 깊은 영향은 사도행전 2장과 4장에 나오는 초대 교회 공동체 생활이었다.
그는 공동체 생활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살아야 할 삶이라고 말했다.
공동체 형태는 공동 생활, 도시 공동체, 공동체 교회, 셀 교회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의 실제적인 코이노니아가 이뤄지는 공동체로서 교회에 대한 가르침과 삶은
한국 교회가 공동체로 회복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공동체 혹은 공동체 교회를 실천하려는 목회자와 교회들에게 예수원은 공동체의 진원지 역할을 해 왔다.
멸가치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싱그로운 등반로
물양지꽃
여우오줌
중부 이북의 산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일본 혼슈 지방에 분포한다.
줄기는 굵고, 높이 80-150cm다. 잎은 어긋나며, 아래쪽 큰 것은 난형, 밑이 잎자루로 흘러서 날개처럼 된다.
줄기 가운데 잎은 도란상 긴 타원형, 위쪽 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다. 꽃은 8-10월에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피며,
노란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2.5-3.5cm, 암꽃으로만 된 것과 양성꽃으로 된 것이 있고, 옆이나 밑을 향한다.
꽃싸개잎은 피침형,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모인꽃싸개는 반구형, 바깥쪽 조각이 꽃싸개잎과 비슷하다.
열매는 수과이며, 부리가 있고, 겉에 샘점이 있다. 약용으로 쓰인다.
꽃이 시들어 버린 노루오줌 이니면 숙은노루오줌으로 보이는데...확실히는 모르겠다..
참나물
등골나물
구부시령(1007m) 삼거리가 나왔다 이곳 부터는 백두대간 길이다.
새며느리밥풀꽃이 지천이다.
벼과에 속하는 새 ...야생화 도감에서 찾아보았는데 틀릴 수도 있다.
구부시령 이정표
단풍취...온 산이 단풍취와 새며느리밥풀 군락지이다.
달개비...들판에 흔한 꽃인데, 1000m가 넘는 고산에서도 발견 되어 담아 보았다.
흔히들 유식하게....닭의장풀 이라고 한다..그런데 달개비라는 이름이 더 예쁘다.
외떡잎식물의 닭의장풀과에 속하는 1년생초.
달개비, 닭개비 또는 닭의밑씻개라고도 함.
오이풀
종류가 여러가지 있다...퍼온 글
동속식물:
구름오이풀(이명:묏오이풀) Sanguisorba argutidens Nakai
구슬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 var. globularis (Nakai) W.T.Lee
긴오이풀(이명:긴잎오이풀) 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두메오이풀 Sanguisorba obtusa Maxim.
산오이풀 Sanguisorba hakusanensis Makino
술오이풀 Sanguisorba minor Scop.
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 L.
자주가는오이풀 Sanguisorba tenuiflora var. purpurea Trautv. & Mey.
큰오이풀(이명:백두오이풀) Sanguisorba stipulata Raf.
흰오이풀 Sanguisorba stipulata for. alba (Trautv. & Mey.) Kitam.
곧장 직진한면 알바(길 잘 못 들어 헤맨다는 은어)하는 구간...이정표를 보고도 상당수가 직진했다가 되돌아 왔다.
이길이 덕항산을 지나 댓재와 두타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길이다.
짚신나물
세잎쥐손이풀...로 추정된다. 틀릴 수도 있다.
꽃 모양으로 봐서 이질풀과 거의 비슷하게 구별이 어렵다... 이질풀도 쥐손이풀과에 속함.
중간 중간 잘 정비된 등산로와 이정표.
기름나물..참나물과 꽃이 비슷한 산형과의 꽃인데 잎이 완전히 다르니 잎을 보면 쉽게 구분된다.
두메고들빼기
덕항산에 아담한 정상석이 있었다는데 누가 훔쳐갔는지 없어졌다고 한다.
인증!!!! 100대 명산 93번째...그런데 예전 올랐지만 정상 인증샷이 없는 100대 명산이 몇 곳 된다...
뭐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닌 자기싸움인데...상관이야 없지만...
다시 짚신나물
일월비비추..끝물이라 거의 다 지고 몇송이 보인다.
참취꽃
꽃이 시들기 시작한 바디나물 추정되는데...확실히는 모르겠다.
병조회풀
귀네미마을 풍력발전기...
아래 퍼 온 자료.
광동댐 이주단지로 조성된 귀네미 마을..해발 1000m가 넘는 백두대간 고원지대로 관광객들이 몰려드는 여름철에는
셔틀버스가 운해된다고 한다.
덕항산 등반로를 따라 태백과 삼척의 경계가 구분된다,
단풍취
동자꽃
곳곳에 낭떠리지 위험 표지판이 보인다...평탄한 등반로이지만 좌측은 완만한 숲이고 우측은 깍아지른 절벽이다.
바위채송화가 붙어 있는데 접근할 수가 없어서 멀리서 줌촬영으로 담아보았다.
잠깐 환선굴 입구 주차장이 조망된다.
동자꽃
배초향...
깻잎과 비슷한 잎을 방아잎이라 하고 톡특한 향으로 인하여 음식 첨가물로 이용된다.
전라도 해안 지방에서 장어탕을 시키면 입맛에 맛는 사람만 넣어서 먹을 수 있도록 잘개 썬 방아잎이 함께 나온다.
모시대...
참나물
꽃이 져 버린 산꿩의다리
큰잎갈퀴
지각산 (환성봉) ...사실상 덕항산의 최고봉인데....이름이 지각산이고 여러가지로 헷갈린다.
다시 귀네미마을 조망이 열린다.
기존 도로 옆으로 새로 건설중인 도계~ 신기간 도로가 희미하게 보인다.
골말..환선굴 입구 주차장...맨 앞쪽으로 내가 타고온 버스도 보인다..망원 촬영
희미하지만 도계 신기간 도로 동해바다가 보이는데 사진으로는 구별되지 않는다.
아주 희미하지만 삼척시내의 형태가 보인다. 뒤로 동해바다도 보인다.
잔대...예쁜 종이 딸랑 딸랑 울리는 듯 하다. ...
아직 꽃망울이 열리지 않았지만 분취 종류 중 은분취로 추정된다. 틀릴 수도 있다.
꽃은 이미 졌지만 하늘말나리 잎으로 추정된다.
산행 도중 귀한 분홍색의 솔나리가 덕항산에서 관찰된다 하여 계속 살피고 갔는데 아쉽게도 한 개체도 발견하지 못했다.
처음으로 발견한 시들어가는 노루오줌...
눈빛승마
물양지꽃
벌개미취..노란 꽃은 짚신나물
잔대...빨간 꽃은 새며느리밥풀
흰꽃의 잔대
드디어 자양재에서 환선굴까지 하산구간이다.
지금까지는 거의 완만한 경사로의 오름구간과 평탄한 능선구간을 걸었지만,
앞으로 1.7km 구간은 급경사 내리막길이다. 별로 위험하지는 않지만 몹시 가파르다,
하산길 내내 계단이나 안전로프가 매어져 있지만 직접 로프를 잡고 암릉을 오르내리는 세미 클라이밍 코스는 없다.
병조회풀
중간 중간 험하 바윗덩어리의 너덜지대가 보인다.
처음르로 발견한 약수터
제 2 전망대
제2 조망대에서....덕항산의 동쪽 사면 거대 암릉의 낭떠러지가 조망된다.
아래 사진을 클릭해 보세요.
제 2전망대에서 덕항산을 파노라마로 담아 보았다.
거대 암봉 아래로 철재 난간이 설치된 등반로가 살짝 보인다.
우산나물...비슷한 삿갓나물이 있는데 삿갓나물은 독이 있다.
토아산(兎兒傘)·삿갓나물이라고도 한다. 새순이 올라와 잎이 나올 때 채 벌어지기 전의 모습이 마치 우산을 펼친 듯하여 우산나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지방에 따라서는 삿갓나물이라고도 하지만 같은 이름의 다른 종인 삿갓나물과는 다른 식물이다. 한자 이름인 토아산은 토끼 새끼가 쓰는 우산이라는 뜻이다. 뿌리줄기에 가는 뿌리가 많다. 전체에 털이 없다. 대개 그늘에서 무리 지어 자라는데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가지를 치지 않고 회청색을 띤다. 우산나물과 비슷한 유사종으로 잎의 뒷면에 흰빛이 돌지 않는 것을 대청우산나물, 잎과 꽃이 다소 작고 두상화가 산방 꽃차례로 달리는 것을 애기우산나물이라 한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데 향기와 맛이 참나물과 비슷하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 두고도 쓴다.
아직 꽃봉우리 상태인 송장풀로 보이는데 확실히는 모르겠다...
제 1전망대 ...가운데 촛대 바위가 보인다.
누구나 같은 위치에서 찍는 사진...덕항산 검색하면 무조건 나오는 사진...
덕항산에 오르면 꼭 봐야 할 장면.
촛대바위쪽 조망을 초광각렌즈로 담아보았다.
천연동굴 전망대에서의 조망...이 때 폭우가 쏟아지는 바람에 사진을 몇장 밖에 담지 못했다.
천연동굴
천연동굴 전망대에서 조망...순식간 엄청난 폭우가 쏟아져 겨우 한장 담았다.
환선굴 입구 선녀폭포..이 사진도 폭우 속에 겨우 한장 카메라에 담았다.
골말에서 바라다 본 소나기가 오는 덕항산...
환선굴 모노레일...
날머리... 골말 마을에서 덕항산을 바라보고..
하산 완료...10km 조금 안되는 거리를 5시간 30분 걸렸다.
단순히 속도 위주로 산행만 한다면 4시간이면 충분한 거리이다.
'충청 경기 강원 등산기록 > 강원도 산행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덕산(100대 명산 강원도 평창/영월 둥산지도) (0) | 2017.01.15 |
---|---|
설악산 망경대(46년만에 임시 개방한) (0) | 2016.10.10 |
대암산 (100대 명산 인제 양구 대암산 등산지도) (0) | 2016.07.30 |
방태산 (100대 명산 인제 방태산 등산지도) (0) | 2016.06.15 |
영월 태화산 (100대 명산 태화산 등산지도) (0) | 2016.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