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산 등산하면서 하산길에 들러본 범어사 사진 함께 올립니다.
사찰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없어서 설명 없이 사진만 올립니다.
범어사 소개글(퍼 옴)
범어사 梵魚寺
요약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이다. 1700년(숙종 26) 동계가 편찬한 〈범어사창건사적 梵魚寺創建事蹟〉에는 신라 흥덕왕(826~835 재위) 때 의상이 화엄신중기도로 왜구의 침입을 막아내자 왕이 매우 기뻐해 의상을 예공대사로 삼고 범어사를 창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702년에 죽은 의상이 흥덕왕 재위기간에 왜구를 물리쳤다는 기록은 믿을 수 없다. 따라서 범어사의 창건 연대는 의상이 당에서 귀국한 670년 이후 생존기간의 어느 때로 보아야 할 것 같다. 신라 화엄10찰 가운데 하나로서 의상이 창건하고 그의 제자 표훈(表訓)이 주석했다는 범어사는 왜구를 막는 비보사찰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조선시대에는 임진왜란 이후 폐허가 되었다가 1613년(광해군 5)에 묘전·현감 등이 법당과 요사채를 갖추어 중창한 이래 많은 고승들을 배출해 '선찰대본산'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범어사는 산의 지형을 이용해 제일 상단에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전각을 세우고 중단에는 보제루를, 하단에는 일주문과 천왕문을 중심으로 당우를 건립해 전체적으로 3단을 이루는 산지가람 배치로 되어 있다.
아래는 위키백과의 범어사 소개 글(퍼 온 자료)
범어사
범어사(梵魚寺) | |
---|---|
![]() |
|
종파 | 조계종 |
건립년대 | 678년 |
창건자 | 의상 |
위치 | |
소재지 | 부산 금정산 |
좌표 | 북위 35° 17′ 2″ 동경 129° 4′ 5″좌표: 북위 35° 17′ 2″ 동경 129° 4′ 5″ |
목차
역사
678년 신라 문무왕 시절에 의상에 의해서 지어졌다. 후에 조계종으로 합쳐진 화엄종의 10대 사찰 안에 속했다. 고려 시대에 최전성기를 누렸으며, 그 때는 지금보다 훨씬 더 큰 규모였다. 임진왜란으로 인해서 절이 탔으며, 1602년 복원되었으나 또 화재가 발생하였다. 대웅전과 일주문이 이 시기에 건설되었다.
2010년 12월 15일 화재로 천왕문이 소실되었다.[1]
문화재
범어사 대웅전

범어사 대웅전(梵魚寺大雄殿)은 보물 제434호로, 조선 중기의 건물이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집 계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범어사 안에 있으며,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어 측면에는 공포(包)를 배치하지 않았다. 대신 측면에는 높은 기둥 2개를 세워 중종량(中宗樑)을 받치게 하였으며, 그 위에 또 종량(宗樑)이 있는데 박공 머리에는 방풍판(防風板)을 달았다. 내부는 2개의 옥내기둥 사이에 후불벽(後佛壁)을 치고, 앞면에는 옆으로 긴 불단이 건물의 중앙까지 차지하고 있으며, 위에는 석가여래 등 불상 3개가 나란히 안치되어 있다.
범어사 삼층석탑

범어사 삼층석탑(梵魚寺三層石塔)은 보물 제250호로, 범어사 대웅전 앞에 있다. 신라 말기의 화강석제 석탑으로, 높이는 4m이다. 2중 기단(基壇) 면석(面石) 상하에 탱주를 대신하여 안상(眼象)을 새겨넣은 점이 특이하다. 제1탑신은 특히 커서 2층 이상의 감축률이 눈에 띈다. 《범어사사적기(梵魚寺事蹟記)》에 따르면 신라 흥덕왕(興德王)이 세웠다고 한다.
범어사 동종

조선시대의 구리 종으로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90호로 지정되어 있다. 높이 127센티미터, 종구(鐘口) 지름 92.5센티미터이다. 종신에 만든 시기, 무게, 주로 만든 사람, 시주자 등의 명문이 양각으로 새겨져 있다. 명문에 따르면 범어사 동종은 1728년에 김성원(金成元)과 김선봉(金善奉)이 만들었다.
범어사 등나무 군생지

범어사 등나무 군생지는 범어사 근처에 있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이다.
암자
범어사에는 11개의 암자가 있다.
- 청련암
- 내원암
- 계명암
- 대성암
- 금강암
- 안양암
- 미륵암
- 원효암
- 만성암
- 지장암
사진
주석
- “범어사 천왕문 화재로 전소”. YTN. 2010년 12월 16일. 2010년 12월 16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 한국의 사찰 (지역별)
- 금정산
- 금강영관(선무도)
- 소림사
- 범어사 천왕문 화재 사건
'관광,여행,축제,야생화 > 여행사진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절곶]...대한민국에서 가장 해가 먼저 뜨는 명소 (0) | 2015.12.07 |
---|---|
정읍 내장사 (0) | 2015.11.14 |
문경새재도립공원(문경새재 탐방로 지도 등산로) (0) | 2015.06.06 |
은해사(영천 팔공산 은해사) (0) | 2015.04.25 |
김제 금산사 2 (0) | 201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