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등산 기록/경상남도(부산) 산행기록

구덕산 승학산 연계산행

섬돌7 2023. 10. 9. 17:39

부산 구덕산과 승학산을 연계산행으로 올랐다.

구덕산은 부산의 대표적인 산으로 이름이 높고,

부산 시민들이 가볍게 오를 수 있는 마을 뒷산으로 아래 퍼온 자료로 설명 대신하기로 한다.

 

구덕산 승학산 퍼 온 자료

구덕산
九德山
사병산(四屛山), 구덕산(舊德山)

유형 지명
면적 높이 565m
소재지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
분야 지리/자연지리
요약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과 사하구 당리동 및 사상구 학장동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는 562m이다. 사병산(四屛山) 또는 구덕산(舊德山)으로 부르기도 한다. 구덕산은 태백산맥의 지맥인 금정산맥의 남쪽 부분에 속한다. 금정산맥은 북쪽으로부터 금정산(金井山, 802m)·상학봉(上鶴峰, 638m)·백양산(白楊山, 642m)·구덕산·천마산(天馬山, 325m)을 거쳐 다대포(多大浦)의 몰운대(沒雲臺)로 이어진다.

구덕산의 동쪽 사면으로는 보수천(寶水川)이 흐르고, 서대신동 계곡과 구덕고개에 이르는 산록은 경치가 좋고 각종 원예수와 꽃재배가 성하여 시민들의 산책로로 이용된다. 남서쪽 사면에는 경치가 아름다운 제석곡(帝釋谷)이 있고, 경사가 급한 북쪽 사면으로는 학장천(鶴章川)이 흐른다.

1984년에 구덕터널이 개통되어 부산의 도심에서 직접 구포(龜浦) 방면 및 남해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도로망이 구축되었다. 이로 인하여 구덕산의 북쪽 학장동 일대가 개발되었고, 1990년대 이후에는 구덕산의 남서쪽 당리동 일대에 아파트 건설이 본격화되었다.

승학산

승학산은 고려 말 승려 무학이 전국을 다니면서 산세를 살피다가 이곳에 이르러 산세를 보니 마치 학이 날아오르는 듯하다고 하여 승학산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자연 환경]
승학산은 북동쪽으로 구덕산을 지나 엄광산에 이어지고 남서쪽으로 동매산[210.4m]을 지나 몰운대로 연결된다. 전형적인 노년 산지이나 산정은 예리한 원추형을 나타내고 동쪽과 서쪽 산록이 비교적 경사가 급하다. 주봉에서 북쪽과 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곳곳에 안산암질의 기반암으로 이루어진 토르(Tor)[지하의 암괴덩어리가 오랜 풍화 작용으로 동글동글한 돌인 핵석을 만들게 되고, 이후 오랜 침식으로 주변의 층이 제거되며 핵석이 높게 쌓여 돌탑처럼 드러나게 되는 지형]와 타포니(Tafoni)[암벽에 마치 벌집처럼 구멍이 파여 있는 지형]가 있다. 산지의 북쪽 사면에는 침식 평탄면이 형성되어, 억새가 군락을 이루는 고산 습원이 자리하고 있다.

[현황]
승학산의 해발 고도는 497m로 부산광역시 사하구와 사상구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세계적인 철새 서식지 및 도래지인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와 낙동강 삼각주 지형 및 경관을 조망할 수 있으며, 정상 부근에는 수만 평에 이르는 억새밭이 펼쳐져 있다. 주변에는 동아 대학교 하단캠퍼스와 에덴 공원이 있다.

 

아래는 구덕산 등산 지도

본인이 산행한 구덕산 승학산 등산 경로...(트랭글 자료)

아래 사진 부터는 구덕산 승학산 등산하면서 촬영한 사진으로 일부 사진에 간단한 설명을 덧붙인다.

부산 대신동 꽃마을 공영주차장(종일 주차 2400원)에 주차 후 곧장 구덕산 등산로로 산행을 시작한다.

 

등산로 입구로 화장실 등 편의시설이 있다.

 

구덕산 등산 초입

 

등산로가 별도로 있다고 하는데 어딘지 찾기도 어려워 계속 임도로 진행한다.
임도에도 중간 중간 이정표가 잘 되어 있다.
임도에서 미륵사로의 갈림길

 

임도 중간 중간 공원 편의시설들이 많이 보인다.
이 임도를 통해서 정상까지 이어진다.

 

고들빼기 일종인데, 두메고들빼기로 추정되는데 종류가 많아 잘 모르겠다

 

잠시 낙동강쪽 조방이 들어난다. 낙동강 건너는 김해시이다.

 

도심내 공원이다 보니 구덕산에도 갈림길이 무수히 많다.

 

잠시 다대포쪽 바다가 보인다.
낙동강 하구와 다대포 그리고 뒤로 가덕도의 산 연대봉이 보이고 그 뒤로 거제도도 보인다.

 

부산 신항

 

구덕산의 기상관측탑
119중개탑이라 써있다.
산박하가 지천이다.
구덕산 정상부에 오르니 부산항대교와 그 뒤로 오륙도가 선을 내민다.

 

부산 해운대의 마천루..

 

중앙에 광안대교가 보인다.
좌로 해운대와 부산항 조망
부산항대교도 줌으로 당겨보았다.
구덕산.

 

인증샷
꽃이 지기 시작하는 등골나물로 추정된다..
구덕산에 오른 후 조금 내려오면 승학산으로 진입하는 안부가 나온다...저 길로 승학산으로 등산을 시작한다. 구덕산 보다 승학산이 드넓은 갈대밭도 있고 부산시 조망도 더 잘보이고 등반로도 아기자기 하고.... 볼거리는 훨씬 많다.
개쑥부쟁이라는데~ 개미취 종류와 비슷해서...이것도 틀릴 수 있다.

 

여기가 구덕산 제 2봉인가?

 

구절초
구덕산과 승학산 사이 안부...임도가 연결되어 있다.
승학산 억새밭으로 오르는 길

 

까실쑥부쟁이인가?  참취꽃하고 헷갈려서...틀릴 수 있다.
억새밭이 보이기 시작한다.

 

미역취로 보인다..
여뀌

 

갈대밭
씀바귀인가? 아님 고들빼기도 비슷해서 틀릴 수도 있다.

 

갈대밭

 

미역취
멀리 감포항과 낙동강 하구가 보인다.
가야 할 승학산.

 

며느리발톱

 

오륙도가 조망된다.

 

드디어 승학산 정상부

 

파노라마

 

낙동강 하구가 조망된다. 뒤로 가덕도와 거제도까지

 

김해공항으로 착륙하는 여객기..t' way 표시가 보인다.

 

옛 표지석..

 

승학산에서 바라다 본 구덕산
좌측으로 부산의 본산 금정산이 보이고 우측으로 백양산, 상계봉 등이 조망된다. 예전에 다 한번씩 오른 산이다.
금정산 고당봉을 줌으로

 

금정산과 구덕산
인증샷

 

다시 낙동강 하구뚝 쪽 조망

 

동아대학교 쪽으로 하산한다.
고즈녁한 하산길
동아대학교로 하산길 중간에 이렇게 쉼터가 있다.

 

쉼터에서 바라다 본 조망 ...저 봉우리가 묘지봉인가?

 

산박하가 지천이다

 

하산길에 조망 ..멀리 부산 신항이 보인다.
낙동강 하구뚝

 

전파탑이 보이는데 저 산은 무슨 산인지 잘 모르겠다.
가덕도 연대봉

 

하신길 종점

 

동아대의 등반로 입구에 안내도
우측으로 동아대학교가 보인다..하산 완료.
동아대학교 정문을 지나 곧장 버스정류장을 가서 시내버스를 타고 산행기점인 대신동 꽃마을로 차량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