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변의 낮으마악한 야산이다.
그냥 호기심에 자동차로 올라가 보았다.
정상에는 방송국 송신탑과 파라글라이더 활공장이 있는 그냥 평범한 마을 뒷산이다.
본인의 산행(?)의 사진을 기록하는 차원에서 설명 없이 오직 사진만 올린다.
아래 글은 대니산 설명 퍼온글
■대니산(戴尼山407m)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과 구지면 경계에 있는 산이다. 정상은 현풍면 오산리에 있고 능선은 서북방향으로 뻗어 낙동강이 곡류하는 도동리에서 멈춘다. 대니산 북쪽 낙동강이 곡류하여 대니산을 휘감아 남쪽으로 흘러간다. 산세는 삼각형의 형상이 뚜렷하고 주변은 평지이기 때문에 현풍면 일대 전망이 뛰어나다. 정상으로 오르는 임도가 있어 자동차로 오를 수 있으며 중계 안테나 시설이 있고 패러글라이딩 활공장과 산불감시탑이 있다. 대니산 남쪽 구지면 일대는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서북쪽 낙동강이 곡류하는 지점에는 도동서원(道東書院)과 조선 전기 때 성리학자로 이름이 높았던 김굉필(金宏弼) 묘가 있다. 원래 대니산(代尼山)이었으나 연산군 때 한훤당 김굉필(金宏弼)이 이곳에 거주하게 되면서 성현인 공자의 자인 중니(仲尼)에서 니(尼)는 그대로 살리고 대신할 대(代)를 일 대(戴)로 고쳐 '공자를 받드는 산'이라는 의미인 대니산(戴尼山)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이것이 변하여 태리산(台離山) 또는 제산(梯山)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일설에는 예전에는 한자로 태리산(台離山)이었으나 이 산 아래 현인군자가 많이 나서 중국의 니구산(尼丘山)과 같다 하여 재니산(載尼山)이라 하였다고 한다. 또한 지명에 따라 솔례산, 구지산이라 하며, 봉우리가 높고 빼어나 수리산이라고도 하며, 신라 때 큰 절이 있었으므로 금사산이라고도 한다.
대니산(407m)은 달성군 구지면과 현풍읍의 경계에 있는 독립된 산지로서 서쪽의 진등산까지 능선이 이어진다. 대니산은 곡류하는 낙동강의 좌안에 있는 산으로 북쪽 사면은 낙동강의 공격 사면에 해당하여 하식애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산체의 기반암은 흑운모 화강암의 관입으로 인해 융기한 함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정 부근을 차지하는 흑운모 화강암의 관입에 의하여 주변의 함안층, 진동층이 변질 경화되어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 주변보다 높은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산정부는 흙으로 덮여 있는 토산으로, 창녕 310 삼각점이 있고, 위치는 위도 35.68, 경도 128.41이다. 대니산 정상에는 방송용 중계탑이 설치되어 있고, 수리리에서 정상까지 임도가 연결되어 있다. 정상에는 활공장이 마련되어 있어 패러글라이딩을 즐길 수 있다. 대니산에서는 낙동강을 따라서 달성 도동 서원(道東書院), 송담 서원(松潭書院), 석문산성, 부리진(오설리 늪동골에 위치) 등이 자리 잡고 있다.
'영남권 등산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주 양산 정족산 등산(정족산 등산지도) (0) | 2023.10.21 |
---|---|
울산과 양산의 경계지점의 대운산 (0) | 2023.03.19 |